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9

'난'과 '란'

조회 수 8574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과 '란'

신문이나 잡지에서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싣기 위해 마련한 자리를 '난(欄)'이라고 한다. 사회가 다양해지면서, 변화하는 독자의 욕구에 따르기 위해 신문 지면에도 새로운 난들이 점점 늘고 있다. '독자투고란' '인사란' '취업란' '부고란','사람난' '알림난','오피니언난''레저난' 등 문패도 각양각색이다.

그런데 문패들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같은 '欄'자를 쓰는데도 어느 것은 '난'으로 쓰고, 어느 것은 '란'으로 쓰니 말이다. 한자어 '欄'은 앞 말에 따라 '난'이 되기도 하고 '란'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는 규칙이 있다.

'欄'이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두음법칙이 적용돼 '난'으로 표기한다. 독자의 소리를 싣는 난. 빈 난을 채우시오. 새로운 난을 마련하다.

그러나 다른 말과 결합해 쓰일 때는 앞 말이 한자어이면 '란'으로 쓴다. 공란(空欄) 고정란(固定欄) 앞 말이 고유어나 외래어일 때는 '난'으로 쓴다. 어린이난 가십난(gossip난)

간단히 정리하면 한자어와 결합할 때만 '란'을 쓰고 나머지 경우엔 '난'을 쓰는 것이다. 문패는 그 집의 얼굴이다. 귀한 손님들이 얼굴을 찡그리지 않고 자신의 집을 찾아올 수 있도록 문패를 바르게 달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42
48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601
47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735
46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92
45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76
44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858
43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71
42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76
41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16
40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20
39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227
38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57
3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56
36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60
3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416
34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568
33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54
32 휘거 風文 2014.12.05 25076
31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95
30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563
2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60
28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66
27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