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0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치다'와 '밭치다'

'아침을 굶고 다니니까 늘 오후가 되면 속이 출출한데요. 오늘은 맛있는 저녁상을 차려 보기로 하죠. 학교 다니면서 자취해보신 분 손들어 보세요. 삼층밥 많이 해보셨죠? 밥을 잘하려면 우선 솥에다 쌀을 고르게 앉힌 다음 물의 양을 적당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불의 세기도 물론 중요하지요. 처음에는 강한 불로, 나중에는 약하게 줄였다가 김이 오르면 아주 낮춰서 뜸을 들여야 맛있는 밥이 됩니다. 밥은 올려놨으니 미역국도 끓여야지요. 미역국에 들어가는 재료는 다양한데요. 굴을 넣기도 하고 조개를 넣기도 하며 쇠고기도 넣더군요. 일부 지방에서는 들깨를 찧은 다음 체에 받쳐서 넣는답니다. 그리고 조기 한 마리를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접시 위에 올려놓습니다. 매운 고추를 송송 썰어 넣어 된장찌게까지 끓이면 더 좋겠죠?

이제 준비가 됐으니 즐거운 식사시간이네요. 맛있게 드세요.' 많이 드셨어요? 그러면 소화도 할 겸 위의 글에서 잘못 쓴 단어 세 개를 찾아보세요. 정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 쌀을 솥에 넣는 것은 '안치다'입니다. '앉히다'는 '앉게 하다'란 뜻이죠. 그러므로 '앉힌'을 '안친'으로 해야 합니다. 둘, 체로 거르는 것은 '밭다'입니다. 센말로는 '밭치다'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밭쳐서'가 맞습니다. 셋, 짐을 나르는 도구는 '지게'이고 반찬은 '찌개'입니다. '된장찌게'가 아니라 '된장찌개'가 맞습니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44
1830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511
1829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16
1828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516
1827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20
1826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21
1825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25
1824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8
182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8
1822 바람의종 2007.03.31 8542
1821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43
1820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1819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818 단골집 風磬 2006.11.06 8545
1817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5
1816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47
1815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49
1814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813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51
1812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54
1811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1810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57
1809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