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90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떤 개인(?) 날

'어떤 개인 날'. 우리에게 참으로 낯익은 글귀다. 어둠의 터널을 뚫고 한 줄기 빛이 비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담은 이 글귀는 우리네 삶의 깊은 곳을 건드린다. 그렇기에 동서를 불문하고 많은 예술가의 사랑을 받았나 보다.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 중 '어떤 개인 날', 황동규 시집 『어떤 개인 날』, 노향림의 시 '어떤 개인 날' 등 이 글귀를 사용한 예술작품들이 많다는 사실은 이를 잘 말해 준다.

이 좋은 말 속에도 옥에 티가 있다. 표기법상 '개인'은 '갠'의 잘못이다. 기본형이 '개이다'가 아니라 '개다'이므로 '개니/개어/갠' 등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떤 갠 날'이 바른 표기다. 이렇듯 기본형에 '-이-'가 들어가 잘못 활용되고 있는 말들이 꽤 눈에 띈다.

설레이는 마음(×)→설레는 마음(○), 목이 메이다 →목이 메다, 헤매이는 발길 →헤매는 발길, 몇 번이고 되뇌였다 →되뇌었다, 살을 에이는 추위 →살을 에는 추위.

'어떤 개인 날'을 '어떤 갠 날'로 고쳐 놓으면 왠지 감칠맛이 떨어지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다. 시적 언어로 쓰인 방언인 '(봄)내음''나래'를 표준말 '(봄)냄새''날개'로 바꿔 놓았을 때 느끼는 기분처럼. 그러나 '어떤 개인 날'이 시적 언어로는 널리 사랑받고 있지만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라는 점은 꼭 알아두자.

한규희 기자 khhan@joongang.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98
2556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07
2555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11
2554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14
255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14
2552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17
2551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24
2550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0
2549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32
2548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36
2547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39
2546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44
2545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2544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52
2543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5
2542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56
2541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57
2540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539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58
2538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59
2537 라틴말의 후예 바람의종 2008.02.03 6963
253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64
2535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