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1 02:16

장사 잘돼?

조회 수 9934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사 잘돼?

'요즘 장사 잘돼?' '잘되긴 뭘 잘돼. 안돼도 너무 안돼.' 실물경기가 무척 어렵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위의 경우처럼 '되' '돼'가 나올 때 어떻게 구분해 적어야 하는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잘돼'는 '잘되다'의 어간 '잘되'에 어미 '-어'가 붙어 이루어진 '잘되어'의 준말이다. '안돼'도 '안되어'의 준말이다. 여기에서 어미 '-어'를 떼어내고 '잘되' '안되'로 끝날 수는 없다. '언제 밥 먹어?'의 '먹어'에서 어미 '-어'를 떼어내고 '언제 밥 먹?'으로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 자리에 서'의 경우 '서다'의 어간 '서'만 쓰인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서(어간)+어(어미)'가 줄어든 것이다, 쉬운 방법은 '되어'로 바꿔 보아 가능하면 '돼'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되'를 쓰면 된다. '잘되긴'에서 '되'는 '되어'로 바꿔 쓸 수 없으므로 '잘돼긴'으로 할 수 없다. 다만 '훌륭한 사람이 되라'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훌륭한 사람이 돼라(되어라)'처럼 똑같은 문장에서 '되' '돼'가 모두 쓰이는 경우가 있다. 맨 앞은 신문 사설의 제목 등에서 흔히 보는 문어체 명령이고, 둘째 것은 간접 인용문이며, 마지막은 듣는 이를 앞에 두고 하는 직접 명령이다. 이와 비슷한 형태로 제목에 많이 나오는 '신상품 선뵈'도 '선봬(선뵈어)'의 잘못이다. 참고로 '뵈어' '괴어' '쇠어' '쐬어'의 준말은 각각 '봬' '괘' '쇄' '쐐'이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45
277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51
2775 바람의종 2012.07.27 9233
27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15
277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763
2772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6922
2771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2770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08
2769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43
276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63
276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85
27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186
276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2
276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889
2763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39
2762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04
2761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58
2760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08
2759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064
275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76
2757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10
275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47
275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