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1 02:16

장사 잘돼?

조회 수 996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사 잘돼?

'요즘 장사 잘돼?' '잘되긴 뭘 잘돼. 안돼도 너무 안돼.' 실물경기가 무척 어렵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위의 경우처럼 '되' '돼'가 나올 때 어떻게 구분해 적어야 하는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잘돼'는 '잘되다'의 어간 '잘되'에 어미 '-어'가 붙어 이루어진 '잘되어'의 준말이다. '안돼'도 '안되어'의 준말이다. 여기에서 어미 '-어'를 떼어내고 '잘되' '안되'로 끝날 수는 없다. '언제 밥 먹어?'의 '먹어'에서 어미 '-어'를 떼어내고 '언제 밥 먹?'으로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 자리에 서'의 경우 '서다'의 어간 '서'만 쓰인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서(어간)+어(어미)'가 줄어든 것이다, 쉬운 방법은 '되어'로 바꿔 보아 가능하면 '돼'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되'를 쓰면 된다. '잘되긴'에서 '되'는 '되어'로 바꿔 쓸 수 없으므로 '잘돼긴'으로 할 수 없다. 다만 '훌륭한 사람이 되라'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훌륭한 사람이 돼라(되어라)'처럼 똑같은 문장에서 '되' '돼'가 모두 쓰이는 경우가 있다. 맨 앞은 신문 사설의 제목 등에서 흔히 보는 문어체 명령이고, 둘째 것은 간접 인용문이며, 마지막은 듣는 이를 앞에 두고 하는 직접 명령이다. 이와 비슷한 형태로 제목에 많이 나오는 '신상품 선뵈'도 '선봬(선뵈어)'의 잘못이다. 참고로 '뵈어' '괴어' '쇠어' '쐬어'의 준말은 각각 '봬' '괘' '쇄' '쐐'이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51
1192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89
1191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9989
1190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9989
1189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95
1188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6
118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98
1186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99
1185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00
1184 다크호스 바람의종 2008.02.04 10007
1183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07
1182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10011
118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12
1180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26
1179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29
1178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32
1177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33
1176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38
1175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40
1174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42
1173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44
1172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49
1171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