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298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부금실

오랜만에 아내와 함께 북한산을 찾았다. 연애시절엔 곧잘 가곤 했으나 결혼 후엔 시간이 나질 않았다. 북한산의 최초 명칭은 부아악(負兒岳)이며 고려 성종대(代)부터 약 1천년간 삼각산(三角山)·화산(華山) 등으로 불렸다. 북한산(北漢山)이란 명칭은 조선 중기 숙종이 축조한 북한산성을 염두에 두고 남한산성과 대비해 '한강 북쪽의 큰 산'이란 의미로 1900년대 초부터 사용했다. 우리가 택한 길은 북한산성 계곡~행궁지∼대남문∼문수봉∼비봉∼족두리봉을 거치는 코스였다. 도중에 60대 부부를 만났는데 두 사람의 모습이 어찌나 살갑던지 요즘 말로 닭살이 돋을 정도였다. 아내도 내가 들으라는 듯 한마디 한다. '부부 금슬이 어찌 저리도 좋을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럴 때 흔히 쓰는 '금슬'은 금실이 맞는 말이다. 금실은 거문고와 비파를 뜻하는 금슬(琴瑟)이 원말로, 거문고와 비파 소리의 어울림이 아주 좋다는 데서 온 말이다. 금실은 금실지락(琴瑟之樂)의 준말로서, 부부 간의 화목한 즐거움, 애정을 뜻한다. 부부의 금실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궁합이 나쁘게 나오면 혼인이 이뤄지지 않기도 한다. 궁합을 볼 때 필요한 게 생년월일시, 즉 사주(四柱)다. 혼인이 정해지면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의 사주를 적어 보내는데, 이것이 흔히 '사주단주'로 잘못 쓰고 있는 '사주단자'다.

단자(單子)는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보내는 사람의 이름을 적은 종이를 가리킨다.

권인섭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1940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93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8
1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30
1937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24
1936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1
1935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17
1934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14
193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13
1932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10
1931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05
193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03
1929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202
1928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01
1927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99
1926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98
1925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97
1924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197
1923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95
1922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92
192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91
1920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919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