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30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부금실

오랜만에 아내와 함께 북한산을 찾았다. 연애시절엔 곧잘 가곤 했으나 결혼 후엔 시간이 나질 않았다. 북한산의 최초 명칭은 부아악(負兒岳)이며 고려 성종대(代)부터 약 1천년간 삼각산(三角山)·화산(華山) 등으로 불렸다. 북한산(北漢山)이란 명칭은 조선 중기 숙종이 축조한 북한산성을 염두에 두고 남한산성과 대비해 '한강 북쪽의 큰 산'이란 의미로 1900년대 초부터 사용했다. 우리가 택한 길은 북한산성 계곡~행궁지∼대남문∼문수봉∼비봉∼족두리봉을 거치는 코스였다. 도중에 60대 부부를 만났는데 두 사람의 모습이 어찌나 살갑던지 요즘 말로 닭살이 돋을 정도였다. 아내도 내가 들으라는 듯 한마디 한다. '부부 금슬이 어찌 저리도 좋을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럴 때 흔히 쓰는 '금슬'은 금실이 맞는 말이다. 금실은 거문고와 비파를 뜻하는 금슬(琴瑟)이 원말로, 거문고와 비파 소리의 어울림이 아주 좋다는 데서 온 말이다. 금실은 금실지락(琴瑟之樂)의 준말로서, 부부 간의 화목한 즐거움, 애정을 뜻한다. 부부의 금실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궁합이 나쁘게 나오면 혼인이 이뤄지지 않기도 한다. 궁합을 볼 때 필요한 게 생년월일시, 즉 사주(四柱)다. 혼인이 정해지면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의 사주를 적어 보내는데, 이것이 흔히 '사주단주'로 잘못 쓰고 있는 '사주단자'다.

단자(單子)는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보내는 사람의 이름을 적은 종이를 가리킨다.

권인섭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87
196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37
196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300
1960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67
1959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52
1958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98
195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13
195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470
1955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526
1954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62
195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83
195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8067
1951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601
1950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58
1949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90
194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40
1947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593
194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29
1945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524
1944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86
194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84
1942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1941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