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6

안갚음 / 앙갚음

조회 수 7391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갚음 / 앙갚음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아버지는 비록 영웅(英雄)이 될 수도 있지만…'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중.

'회초리를 들긴 하셨지만/차마 종아리를 때리시진 못하고/노려 보시는/당신 눈에 글썽거리는 눈물…'

-박목월 '어머니의 눈물'중.

가정의 달이다. 속으로 눈물 켜는 우리 아버지·어머니의 모습을 묘사한 두편의 시를 통해 효(孝)와 관련, 생각나는 우리말이 있다. 다 자란 까마귀가 거동할 수 없는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고사성어 '반포지효(反哺之孝)'와 같은 뜻의 우리말로 '안갚음'이 있다.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말하는데, 간혹 '앙갚음'과 혼동하는 경우를 본다.

'안갚음은 못할지언정 제 부모를 내다 버리다니!' '지난한 시절 너에게 당한 설움을 언젠가 반드시 앙갚음하겠다.'

위 문장 쓰임새에서 보듯 '안갚음'은 부모를 정성스럽게 섬긴다는 좋은 의미인 반면 '앙갚음'은 남이 저에게 해를 주었을 때 저도 그에게 복수나 보복을 하겠다는 무서운 말이다. 정확히 구분해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고 발음에도 신경써야 한다.

'효'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해야 하듯 '안갚음'발음 역시 여유를 갖고 혀끝을 윗니 뒤 끝에 대고 길게 '안- 갚음'하면 된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37
1170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34
1169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00
116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64
1167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86
1166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808
116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5
116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2
1163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52
1162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84
1161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07
1160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0
1159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1158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1157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65
115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84
1155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70
1154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30
115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09
1152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115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94
1150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236
114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