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6

안갚음 / 앙갚음

조회 수 7395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갚음 / 앙갚음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아버지는 비록 영웅(英雄)이 될 수도 있지만…'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중.

'회초리를 들긴 하셨지만/차마 종아리를 때리시진 못하고/노려 보시는/당신 눈에 글썽거리는 눈물…'

-박목월 '어머니의 눈물'중.

가정의 달이다. 속으로 눈물 켜는 우리 아버지·어머니의 모습을 묘사한 두편의 시를 통해 효(孝)와 관련, 생각나는 우리말이 있다. 다 자란 까마귀가 거동할 수 없는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고사성어 '반포지효(反哺之孝)'와 같은 뜻의 우리말로 '안갚음'이 있다.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말하는데, 간혹 '앙갚음'과 혼동하는 경우를 본다.

'안갚음은 못할지언정 제 부모를 내다 버리다니!' '지난한 시절 너에게 당한 설움을 언젠가 반드시 앙갚음하겠다.'

위 문장 쓰임새에서 보듯 '안갚음'은 부모를 정성스럽게 섬긴다는 좋은 의미인 반면 '앙갚음'은 남이 저에게 해를 주었을 때 저도 그에게 복수나 보복을 하겠다는 무서운 말이다. 정확히 구분해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고 발음에도 신경써야 한다.

'효'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해야 하듯 '안갚음'발음 역시 여유를 갖고 혀끝을 윗니 뒤 끝에 대고 길게 '안- 갚음'하면 된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83
1170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2
1169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53
1168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54
116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54
1166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54
1165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56
1164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163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061
1162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5
1161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68
1160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069
1159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71
1158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71
1157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72
115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073
115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73
1154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79
1153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86
1152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90
1151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094
1150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96
1149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0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