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6

안갚음 / 앙갚음

조회 수 7399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갚음 / 앙갚음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아버지는 비록 영웅(英雄)이 될 수도 있지만…'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중.

'회초리를 들긴 하셨지만/차마 종아리를 때리시진 못하고/노려 보시는/당신 눈에 글썽거리는 눈물…'

-박목월 '어머니의 눈물'중.

가정의 달이다. 속으로 눈물 켜는 우리 아버지·어머니의 모습을 묘사한 두편의 시를 통해 효(孝)와 관련, 생각나는 우리말이 있다. 다 자란 까마귀가 거동할 수 없는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준다는 고사성어 '반포지효(反哺之孝)'와 같은 뜻의 우리말로 '안갚음'이 있다.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말하는데, 간혹 '앙갚음'과 혼동하는 경우를 본다.

'안갚음은 못할지언정 제 부모를 내다 버리다니!' '지난한 시절 너에게 당한 설움을 언젠가 반드시 앙갚음하겠다.'

위 문장 쓰임새에서 보듯 '안갚음'은 부모를 정성스럽게 섬긴다는 좋은 의미인 반면 '앙갚음'은 남이 저에게 해를 주었을 때 저도 그에게 복수나 보복을 하겠다는 무서운 말이다. 정확히 구분해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고 발음에도 신경써야 한다.

'효'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해야 하듯 '안갚음'발음 역시 여유를 갖고 혀끝을 윗니 뒤 끝에 대고 길게 '안- 갚음'하면 된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6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88
114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553
1147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52
1146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552
1145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44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143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1142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44
1141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41
1140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35
1139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534
1138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4
1137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532
113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1
1135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31
1134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1133 서울 風磬 2007.01.19 7525
1132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525
1131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4
1130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524
1129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23
1128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21
1127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