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2 11:55

돌나물

조회 수 7438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나물

봄은 산나물의 계절이다. 향기로운 멧미나리, 도톰하고 달큰한 두릅, 쌉쌀한 개두릅, 아기 손 같은 고사리, 털이 보송한 삽주싹…. 산나물 무침에는 이 산 저 산 옮겨 다니며 하나 둘씩 나물을 뜯어 모았을 어머니의 손 냄새가 배어 있다. 요즘은 산나물도 재배를 한다. 그래서 농산물 시장이나 백화점 야채 파는 곳에 가면 쉽게 살 수 있다. 물론 종류가 한정돼 있고 향기도 진하지 않다. 이 중에는 '돈나물' 또는 '돝나물'이라는 표찰을 단 것도 있는데 이 녀석의 진짜 이름은 '돌나물'이다. 이 식물은 들판이나 야산의 돌무더기 위에서 기어가듯 자란다. 그래서 돌나물이다. 자그마한 잎이 조롱조롱 붙은 줄기는 마디마다 뿌리가 난다. 너무 연해서 데쳐 먹을 수도 없다. 그러나 생으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상큼한 봄맛이 느껴진다.

돌나물 외에 많은 사람이 이름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비듬나물'이다. 먹는 것을 두고 지저분하게 '비듬'이라니! 이 식물의 진짜 이름은 비름이다. 비름에는 참비름과 쇠비름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참비름이다. 사실 비름은 산채가 아니고 밭에 돋아나는 잡초다. 이 풀의 연한 잎과 줄기를 따서 삶은 게 비름나물이다.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성인병도 크게 늘었다.

옛날 식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건강해지는 비결의 하나라고 한다. 풋풋한 산나물 향기와 어머니의 손맛이 새삼 그립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28
1192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41
1191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701
1190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34
1189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01
1188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40
1187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73
1186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20
1185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51
1184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70
1183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07
1182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917
1181 네거티브 전략 바람의종 2010.04.17 11034
1180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89
1179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46
1178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405
1177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65
1176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41
1175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43
1174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200
1173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7
1172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19
1171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