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2 11:55

돌나물

조회 수 7407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나물

봄은 산나물의 계절이다. 향기로운 멧미나리, 도톰하고 달큰한 두릅, 쌉쌀한 개두릅, 아기 손 같은 고사리, 털이 보송한 삽주싹…. 산나물 무침에는 이 산 저 산 옮겨 다니며 하나 둘씩 나물을 뜯어 모았을 어머니의 손 냄새가 배어 있다. 요즘은 산나물도 재배를 한다. 그래서 농산물 시장이나 백화점 야채 파는 곳에 가면 쉽게 살 수 있다. 물론 종류가 한정돼 있고 향기도 진하지 않다. 이 중에는 '돈나물' 또는 '돝나물'이라는 표찰을 단 것도 있는데 이 녀석의 진짜 이름은 '돌나물'이다. 이 식물은 들판이나 야산의 돌무더기 위에서 기어가듯 자란다. 그래서 돌나물이다. 자그마한 잎이 조롱조롱 붙은 줄기는 마디마다 뿌리가 난다. 너무 연해서 데쳐 먹을 수도 없다. 그러나 생으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상큼한 봄맛이 느껴진다.

돌나물 외에 많은 사람이 이름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비듬나물'이다. 먹는 것을 두고 지저분하게 '비듬'이라니! 이 식물의 진짜 이름은 비름이다. 비름에는 참비름과 쇠비름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참비름이다. 사실 비름은 산채가 아니고 밭에 돋아나는 잡초다. 이 풀의 연한 잎과 줄기를 따서 삶은 게 비름나물이다.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성인병도 크게 늘었다.

옛날 식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건강해지는 비결의 하나라고 한다. 풋풋한 산나물 향기와 어머니의 손맛이 새삼 그립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49
1940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06
1939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770
1938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193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28
1936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38
1935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32
1934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22
1933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84
1932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276
1931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074
193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496
1929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81
1928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3
192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50
1926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47
1925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79
1924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182
1923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15
1922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1
1921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59
1920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877
1919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