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2 11:55

돌나물

조회 수 7417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나물

봄은 산나물의 계절이다. 향기로운 멧미나리, 도톰하고 달큰한 두릅, 쌉쌀한 개두릅, 아기 손 같은 고사리, 털이 보송한 삽주싹…. 산나물 무침에는 이 산 저 산 옮겨 다니며 하나 둘씩 나물을 뜯어 모았을 어머니의 손 냄새가 배어 있다. 요즘은 산나물도 재배를 한다. 그래서 농산물 시장이나 백화점 야채 파는 곳에 가면 쉽게 살 수 있다. 물론 종류가 한정돼 있고 향기도 진하지 않다. 이 중에는 '돈나물' 또는 '돝나물'이라는 표찰을 단 것도 있는데 이 녀석의 진짜 이름은 '돌나물'이다. 이 식물은 들판이나 야산의 돌무더기 위에서 기어가듯 자란다. 그래서 돌나물이다. 자그마한 잎이 조롱조롱 붙은 줄기는 마디마다 뿌리가 난다. 너무 연해서 데쳐 먹을 수도 없다. 그러나 생으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상큼한 봄맛이 느껴진다.

돌나물 외에 많은 사람이 이름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비듬나물'이다. 먹는 것을 두고 지저분하게 '비듬'이라니! 이 식물의 진짜 이름은 비름이다. 비름에는 참비름과 쇠비름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참비름이다. 사실 비름은 산채가 아니고 밭에 돋아나는 잡초다. 이 풀의 연한 잎과 줄기를 따서 삶은 게 비름나물이다.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성인병도 크게 늘었다.

옛날 식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건강해지는 비결의 하나라고 한다. 풋풋한 산나물 향기와 어머니의 손맛이 새삼 그립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97
1940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01
193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9
1938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193
1937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92
1936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189
1935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187
1934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85
1933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1
1932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78
1931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177
1930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75
1929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71
1928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170
1927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168
1926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166
1925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63
1924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62
192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0
1922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57
192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48
1920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48
1919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