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2 11:55

돌나물

조회 수 7458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나물

봄은 산나물의 계절이다. 향기로운 멧미나리, 도톰하고 달큰한 두릅, 쌉쌀한 개두릅, 아기 손 같은 고사리, 털이 보송한 삽주싹…. 산나물 무침에는 이 산 저 산 옮겨 다니며 하나 둘씩 나물을 뜯어 모았을 어머니의 손 냄새가 배어 있다. 요즘은 산나물도 재배를 한다. 그래서 농산물 시장이나 백화점 야채 파는 곳에 가면 쉽게 살 수 있다. 물론 종류가 한정돼 있고 향기도 진하지 않다. 이 중에는 '돈나물' 또는 '돝나물'이라는 표찰을 단 것도 있는데 이 녀석의 진짜 이름은 '돌나물'이다. 이 식물은 들판이나 야산의 돌무더기 위에서 기어가듯 자란다. 그래서 돌나물이다. 자그마한 잎이 조롱조롱 붙은 줄기는 마디마다 뿌리가 난다. 너무 연해서 데쳐 먹을 수도 없다. 그러나 생으로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상큼한 봄맛이 느껴진다.

돌나물 외에 많은 사람이 이름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비듬나물'이다. 먹는 것을 두고 지저분하게 '비듬'이라니! 이 식물의 진짜 이름은 비름이다. 비름에는 참비름과 쇠비름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참비름이다. 사실 비름은 산채가 아니고 밭에 돋아나는 잡초다. 이 풀의 연한 잎과 줄기를 따서 삶은 게 비름나물이다.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성인병도 크게 늘었다.

옛날 식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건강해지는 비결의 하나라고 한다. 풋풋한 산나물 향기와 어머니의 손맛이 새삼 그립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833
1170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606
1169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604
1168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602
11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599
1166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7
1165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94
11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91
1163 복구 / 복원 바람의종 2012.07.02 7590
1162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85
1161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82
1160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581
1159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78
1158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76
1157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75
1156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570
1155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70
1154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68
1153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5
1152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562
1151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61
1150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57
114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