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9 12:48

자장면 곱빼기

조회 수 7902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장면 곱빼기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즐겨 먹는 외식거리 가운데 하나인 자장면은 작장면(炸醬麵)에서 유래했다. 작(炸)은 '(폭약이)터지다''(음식을) 튀기다, 볶다'라는 뜻이고 장(醬)은 된장·간장 등 발효식품을 말한다. 면(麵)은 밀가루·메밀가루 등으로 만든 국수를 총칭한다. '炸醬'의 현대 중국어 발음은 자장(zhajiang)인데 여기에 '면'을 붙여 자장면이라 부른다.

두 그릇 몫을 한 그릇에 담은 음식을 얘기할 때 쓰는 '곱배기'와 '곱빼기'는 둘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일까? 적을 때는 '곱빼기'로 해야 맞다. 한글 맞춤법 제54항에서 '-꾼'과 '-(ㅅ)군', '-깔'과 '-(ㅅ)갈','-때기'와 '-(ㅅ)대기','-꿈치'와 '-(ㅅ)굼치','-빼기'와 '-(ㅅ)배기','-쩍다'와 '-적다'중에서 '-꾼' '-깔' '-때기' '-꿈치' '-빼기' '-쩍다'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된소리로 나는 위의 접미사는 된소리 글자로 적는다.

'-빼기'는 '그런 특성이 있는 사람이나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억척빼기' '밥빼기' '얼룩빼기'등에도 쓰인다. 또 '-빼기'에는 그 명사를 속되게 이르는 뜻이 있어 '이마빼기에 피도 안 말랐다' '코빼기도 볼 수 없다'처럼 쓰인다. 다만 예외적으로 '언덕의 꼭대기'는 '언덕빼기'가 아니라 '언덕배기'로 표기한다.

최성우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1940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93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8
1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30
1937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24
1936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1
1935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17
1934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14
193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13
1932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10
1931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05
193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03
1929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202
1928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01
1927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99
1926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98
1925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97
1924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197
1923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95
1922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92
192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91
1920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919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