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8

잊혀진(?) 계절

조회 수 7642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잊혀진(?) 계절

이별을 소재로 한 1980년대 대중가요에 '잊혀진 계절'이 있다. 여기에서 '잊혀지다'는 '잊다'의 피동형 '잊히다'에 피동을 나타내는 '-어지다'를 중복 사용한 형태다. '잊힌 계절'로 쓰는 게 원칙이다.

우리말에는 피동형이 낯설다. 피동형을 만드는 데는 피동접사를 넣는 방법(먹다→먹히다)과 '-어(아)지다'를 붙이는 방법(좋다→좋아지다)이 있는데, 언제부턴가 피동형에 '-어지다'를 붙이는 피동의 중복 형태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래 예에서 보듯 피동의 중복은 글의 간결함을 해쳐 맛깔스러운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나뉜)
*히라소니라 불리워지는(→불리는)
*행복하게 보여집니다(→보입니다)

'-되어지다'도 '-되다'에 '-어지다'가 중복 사용된 형태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렇게 판단되어지다(→판단되다)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되어지다(→생각되다)

그러나 다음의 말들은 피동의 중복처럼 보이지만 피동의 중복이 아니다.

*수사의 대상이 '좁혀지다'.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여겨지다'.

남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스스로 내켜서' 움직이는 것이야말로 창조적이며 발전의 원동력이다. 글을 쓸 때 피동형을 전부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하면 우리말답게 말과 글도 능동형으로 표현하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42
1522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64
1521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81
152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63
1519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40
1518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695
1517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04
1516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16
1515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388
151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513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34
1512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74
1511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29
1510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887
1509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1508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78
1507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46
1506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6
150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41
1504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41
1503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46
1502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37
150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