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8

잊혀진(?) 계절

조회 수 7633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잊혀진(?) 계절

이별을 소재로 한 1980년대 대중가요에 '잊혀진 계절'이 있다. 여기에서 '잊혀지다'는 '잊다'의 피동형 '잊히다'에 피동을 나타내는 '-어지다'를 중복 사용한 형태다. '잊힌 계절'로 쓰는 게 원칙이다.

우리말에는 피동형이 낯설다. 피동형을 만드는 데는 피동접사를 넣는 방법(먹다→먹히다)과 '-어(아)지다'를 붙이는 방법(좋다→좋아지다)이 있는데, 언제부턴가 피동형에 '-어지다'를 붙이는 피동의 중복 형태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래 예에서 보듯 피동의 중복은 글의 간결함을 해쳐 맛깔스러운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나뉜)
*히라소니라 불리워지는(→불리는)
*행복하게 보여집니다(→보입니다)

'-되어지다'도 '-되다'에 '-어지다'가 중복 사용된 형태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렇게 판단되어지다(→판단되다)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되어지다(→생각되다)

그러나 다음의 말들은 피동의 중복처럼 보이지만 피동의 중복이 아니다.

*수사의 대상이 '좁혀지다'.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여겨지다'.

남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스스로 내켜서' 움직이는 것이야말로 창조적이며 발전의 원동력이다. 글을 쓸 때 피동형을 전부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하면 우리말답게 말과 글도 능동형으로 표현하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78
1258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60
125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05
1256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396
1255 이음새 바람의종 2010.03.16 10630
1254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113
125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787
1252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280
1251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49
1250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188
1249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75
1248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58
1247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86
1246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210
12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95
12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85
1243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376
1242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46
1241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585
1240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02
123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192
1238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796
1237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