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8

잊혀진(?) 계절

조회 수 7702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잊혀진(?) 계절

이별을 소재로 한 1980년대 대중가요에 '잊혀진 계절'이 있다. 여기에서 '잊혀지다'는 '잊다'의 피동형 '잊히다'에 피동을 나타내는 '-어지다'를 중복 사용한 형태다. '잊힌 계절'로 쓰는 게 원칙이다.

우리말에는 피동형이 낯설다. 피동형을 만드는 데는 피동접사를 넣는 방법(먹다→먹히다)과 '-어(아)지다'를 붙이는 방법(좋다→좋아지다)이 있는데, 언제부턴가 피동형에 '-어지다'를 붙이는 피동의 중복 형태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래 예에서 보듯 피동의 중복은 글의 간결함을 해쳐 맛깔스러운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나뉜)
*히라소니라 불리워지는(→불리는)
*행복하게 보여집니다(→보입니다)

'-되어지다'도 '-되다'에 '-어지다'가 중복 사용된 형태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렇게 판단되어지다(→판단되다)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되어지다(→생각되다)

그러나 다음의 말들은 피동의 중복처럼 보이지만 피동의 중복이 아니다.

*수사의 대상이 '좁혀지다'.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여겨지다'.

남의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스스로 내켜서' 움직이는 것이야말로 창조적이며 발전의 원동력이다. 글을 쓸 때 피동형을 전부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하면 우리말답게 말과 글도 능동형으로 표현하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55
1258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71
125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56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76
1255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81
1254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82
1253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84
1252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86
1251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88
1250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90
1249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91
1248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94
1247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8
1246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900
1245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1244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902
1243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903
1242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04
1241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4
1240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1
1239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912
1238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918
1237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