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5 05:13

'우레'가 운다

조회 수 7857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레'가 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봄부터 소쩍새는/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천둥은 먹구름 속에서/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꽃'의 생성 비밀을 소재로 인생과 우주를 노래한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의 일부다. 인용한 시어 '천둥'과 같은 의미로 쓰는 우리말 중에 '우레'가 있다. '우레라니? 우뢰(雨雷)가 맞을 텐데'하며 미심쩍어하는 독자도 있을 게다. '우레'는 '하늘이 운다(鳴)'는 뜻에서 유래했다. '울다'의 어간 '울-'에 접사 '게'가 붙어 '울게'가 성립되고, 다시 '-ㄹ'아래에서 ㄱ이 탈락해 '울에'가 되는데, 여기서 앞글자 ㄹ받침이 뒷글자 첫소리에 붙어 '우레'가 된 것이다.

1988년 한글맞춤법이 개정되기 전에는 한자어 '비 우(雨), 천둥 뢰(雷)'에 이끌려 '우뢰'를 표준어로 사용했었다. 우리 옛말인 '우레'가 한자어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으나 이제는 '천둥'과 함께 표준어로 인정받고 있다. '우레'가 살아나면서 한자어 '우뢰'는 표준말 자격을 상실했다.

참고로 천둥은 한자어 '천동(天動)'이 원말인데 호도(胡桃)→호두, 통소(洞簫)→퉁소, 장고(杖鼓/長鼓)→장구 등의 예에서 보듯 한자 모음 'ㅗ'가 'ㅜ'로 변해 우리말이 된 경우다. 세찬 비바람 뒤에 오는 무서운 소리 '천둥'과 '우레'가 아름다운 창조만 하는 줄 알았는데 말 바루기의 숙제도 안겨줬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92
1940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124
1939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89
1938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685
1937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76
1936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516
1935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86
1934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37
1933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124
1932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27
1931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60
1930 공부 바람의종 2007.06.03 7207
192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08
192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81
1927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38
1926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68
1925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37
1924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121
1923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2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90
1921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454
1920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833
1919 나락 바람의종 2007.06.09 67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