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2 01:30

해라體와 하라體

조회 수 6865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라體와 하라體

학원 선생님인 독자께 e-메일을 받았습니다. 시험 문제를 낼 때 맞는 답을 '써라'라고 해야 하는지, '쓰라'라고 해야 하는지 늘 헷갈린다고요.

'(정답을) 고르라/골라라''(그림을) 그리라/그려라''(물음에) 답하라/답하여라''(알맞은 것끼리) 이으라/이어라' 등도 비슷한 고민거리네요.

얼굴을 맞대고 얘기할 때 상대에게 '먹으라, 마시라, 잡으라, 보라'라고 하나요? 아니지요. '먹어라, 마셔라, 잡아라, 봐라'라고 하지요. 상대를 아주 낮춰 부르는(명령하는) 이런 말투를 해라체(體)라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 생활에서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을 쓰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그렇다면 잠깐 왼쪽의 오늘의 운세를 봐 주실래요. '60년생 자신감을 키우라. 37년생 받을 것은 포기하지 말고 받으라. 61년생 건강에 신경 쓰라. 26년생 버릴수록 행복해진다. 마음을 비우라.' 여기에서 '키우라, 받으라, 쓰라, 비우라'는 '키워라, 받아라, 써라, 비워라'라고 하는 것보다 상대를 덜 낮춘 느낌이 듭니다. 이처럼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독자에게 책·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낼 때 하는 말투를 하라체라고 합니다.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문어체 명령형)로 쓰입니다.

시험 문제는 여러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말(문어)입니다. 따라서 일관성 있게 '고르라, 그리라, 답하라, 쓰라, 이으라'로 써야 합니다.

김승욱 기자 kswjiri@joongang.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87
1522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20
1521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6
1520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82
1519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73
1518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39
1517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81
1516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66
1515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90
»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65
1513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192
1512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1511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37
1510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62
1509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45
1508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42
1507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96
1506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00
1505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26
1504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83
1503 금슬/금실, 사주단주/사주단자 바람의종 2008.06.04 10289
1502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46
1501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