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4

세금과 요금

조회 수 5493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금과 요금

경제가 다시 어렵다고 한다. 가정경제도 예외는 아니어서 생활비와 관련한 대화가 종종 눈에 띈다.

'영희 엄마, 이번 달 수도세 얼마 나왔어.' '말도 마. 그렇게 아꼈는데도 수도세는 말할 것도 없고 전기세까지 합하니 지난달보다 10만원이 훌쩍 넘게 나왔어.'

알뜰 주부들의 대화에서 보듯 우리가 언어생활 중에 습관적으로 잘못 쓰는 말 중의 하나가 수도세·전기세란 용어다. 국세청이 세금에 대한 상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기요금'을 세금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응답자의 4분의 1이나 됐다는 보도도 있었다.

세금과 요금은 성질이 전혀 다른 말이다. '요금'은 이발 요금·택시 요금·목욕 요금·공항 이용 요금 등 '물건이나 시설을 개인적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그 대가로 내는 비용'을 뜻한다. 따라서 전기나 수돗물을 '쓴 만큼, 개인이 대가로 내야 하는' 전기 요금·수도 요금은 세금이 아니다. '세금'은 소득 있는 곳에 과세 있다는 말이 있듯이 '경제 행위로 이익을 본 당사자에게 국가가 그 일부분을 내도록 하는 강제적인 비용'이다.

부가가치세·근로소득세 등은 '번 만큼, 나라에(일정 부분)내야만 하는'세금이다. 굳은 땅에 물이 괸다고 했다. 이번에야말로 검소·절약을 생활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46
1940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1939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73
1938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66
1937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8
1936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01
1935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1
1934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6
1933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34
1932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7
1931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5
1930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16
1929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1928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24
1927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8
1926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8
1925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1924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1923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54
1922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52
1921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38
1920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11
1919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