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8

"-읍니다""-습니다"

조회 수 8700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읍니다""-습니다"

주변에서 '-읍니다'가 맞는지, '-습니다'가 맞는지 물어 오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우리말 바루기'에 관심을 보여 주시는 독자들의 e-메일에서도 '-읍니다'란 표현이 자주 눈에 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습니다'가 맞다. 1988년 어문 규범을 개정(시행은 89년 3월)하면서 '-읍니다'의 표기를 '-습니다'로 바꿨다. '-읍니다'로 적고 '-슴니다('습니다'의 발음)'로 읽는 불일치를 바로잡기 위해 '습니다'로 바꾼 것이다. 즉 '먹읍니다''있읍니다' 등으로 적던 것을 '먹습니다''있습니다' 등으로 표기하도록 했다.

그러나 명사형 어미 '-음'이 붙어 있는 '있음''없음' 등은 종전과 같이 그대로 표기하므로 '-음''-슴'에 대한 혼란도 생겼다. '-습니다'에 익숙한 학생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음'을 '있슴''없슴' 등으로 쓰는 예가 종종 있다.

90년대 이전에 교육을 마친 40대 이상 세대들은 표준어 규정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수십년간 손에 배고 눈에 익은 '-읍니다'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바뀐 규정을 일반인도 충분히 숙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계도하는 정부 당국의 노력이 부족했던 데에도 원인이 있다.

명사형은 '-음', 서술형은 '-습니다'라고 기억하면 된다. '-읍니다'는 이제 아련한 추억 속으로 묻어 두어야 한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21
1940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11
1939 장사 잘돼? 바람의종 2008.06.11 9964
1938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245
1937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08.06.08 8769
1936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407
1935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52
1934 금슬/금실, 사주단주/사주단자 바람의종 2008.06.04 10298
1933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95
1932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44
1931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00
1930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02
1929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61
1928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57
1927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67
1926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40
1925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0
1924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14
1923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70
1922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511
1921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77
1920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90
1919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