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2

육개장

조회 수 594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육개장

매일 점심을 사 먹어야 하는 직장인들은 식사 시간이 되면 어디에서 무엇을 먹어야 할지 고민이다. 조금 늦으면 식당 앞에서 줄 서기 일쑤고, 종업원들에게서 제대로 대접받기도 어렵다.

즐겨 먹는 음식 중에 '육개장'이 있는데 메뉴판엔 '육계장'이라 적혀 있는 곳이 많다. '육개장'을 알기 위해선 '개장'부터 따져 봐야 한다. '개장'은 개고기를 고아 끓인 국인 '개장국'의 준말이다. 예부터 삼복 때 몸을 보하기 위해 이 '개장'을 즐겼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남아 있는 습속이다. '사철탕'이라고도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요즘은 일년 내내 먹는다고 봐야 한다. 토란·깻잎·대파 등 갖은 양념을 넣어 얼큰하게 끓이는데, 이런 요리 방식으로 쇠고기를 넣어 끓인 것이 '육개장'이다. '개장'에 쇠고기를 뜻하는 '육(肉)'이 붙어 '육개장'이란 단어가 생겨난 것이다.

주로 사대부 집안에서 '개장' 대신 '육개장'을 끓여 먹었다고 한다. 문제는 이 요리 방식으로 쇠고기가 아닌 닭고기를 넣어 끓이는 경우다. 이때도 '개장'이란 어원을 살려 '닭개장'이라고 해야 한다. 닭을 뜻하는 '계(鷄)'자를 넣어 '육계장'이라고 쓰는 것은 '개장'이 어원이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계장'은 없다.

오늘 점심은 무엇으로 할까. 개장·육개장·닭개장, 어떤 것이 좋을까.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8
2886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82
2885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90
2884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95
2883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0
2882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08
2881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09
2880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14
2879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6
2878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8
28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24
2876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25
2875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4
2874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38
2873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44
2872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45
287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1
2870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4
2869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059
2868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61
2867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65
2866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6068
2865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