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20

하늘말라리아?

조회 수 8838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늘말라리아?

'하늘말나리'는 나리의 한 종류다. 보통 나리꽃은 옆이나 아래를 보고 피는데 '하늘말나리'는 반점 찍힌 붉은 색 꽃이 하늘을 보고 핀다. 그래서 꼿꼿해 보인다. 이 꽃처럼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아이들을 그린 『너도 하늘말나리야』라는 동화가 있다. 어떤 분이 이 동화를 소개하는 글을 쓰면서 '너도 하늘말라리아'라고 적었다. '말라리아'는 며칠 간격을 두고 아팠다 안 아팠다 해서 도둑놈병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이다. 예쁜 제 이름을 고약한 병 이름으로 바꿔놓았으니 하늘말나리가 알았다면 기함을 했을 일이다.

위의 사례는 단순한 실수지만 이와 비슷하게 발음에 이끌려 잘못 사용하는 단어들이 있다. '눈 속에 개나리가 피다니 희안하다' '누가 먼저 제비를 뽑을까. 복골복이니까 너부터 해' 와 같이 쓰는 것이 그 예다. '희안하다' 는 '희한하다'로, '복골복'은 '복불복'으로 써야 바르다. 한자어 '희한(稀罕)' 은 드물다는 뜻이다. 거기에서 발전해 신기하다는 의미도 있다. 복불복(福不福)은 똑같은 환경에서 운에 따라 복을 받는 사람도 있고 받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는 뜻이다.

기초가 단단하면 그 위의 건물도 튼튼하다. 말이란 것도 이와 비슷하다. 평소에 단어의 근원을 잘 살펴보는 습관을 들이자.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75
255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99
2555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1
2554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909
2553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34
255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52
2551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43
2550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6
2549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95
254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21
2547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7008
254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78
2545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204
»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38
2543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623
2542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015
2541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39
254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2539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96
2538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16
2537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75
2536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64
2535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