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20

하늘말라리아?

조회 수 8993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늘말라리아?

'하늘말나리'는 나리의 한 종류다. 보통 나리꽃은 옆이나 아래를 보고 피는데 '하늘말나리'는 반점 찍힌 붉은 색 꽃이 하늘을 보고 핀다. 그래서 꼿꼿해 보인다. 이 꽃처럼 어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아이들을 그린 『너도 하늘말나리야』라는 동화가 있다. 어떤 분이 이 동화를 소개하는 글을 쓰면서 '너도 하늘말라리아'라고 적었다. '말라리아'는 며칠 간격을 두고 아팠다 안 아팠다 해서 도둑놈병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이다. 예쁜 제 이름을 고약한 병 이름으로 바꿔놓았으니 하늘말나리가 알았다면 기함을 했을 일이다.

위의 사례는 단순한 실수지만 이와 비슷하게 발음에 이끌려 잘못 사용하는 단어들이 있다. '눈 속에 개나리가 피다니 희안하다' '누가 먼저 제비를 뽑을까. 복골복이니까 너부터 해' 와 같이 쓰는 것이 그 예다. '희안하다' 는 '희한하다'로, '복골복'은 '복불복'으로 써야 바르다. 한자어 '희한(稀罕)' 은 드물다는 뜻이다. 거기에서 발전해 신기하다는 의미도 있다. 복불복(福不福)은 똑같은 환경에서 운에 따라 복을 받는 사람도 있고 받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는 뜻이다.

기초가 단단하면 그 위의 건물도 튼튼하다. 말이란 것도 이와 비슷하다. 평소에 단어의 근원을 잘 살펴보는 습관을 들이자.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67
1940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97
1939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5035
1938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39
1937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7
1936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50
1935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68
1934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406
193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633
193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10093
1931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9010
1930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212
1929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1928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65
1927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918
192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941
1925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25
1924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53
192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93
1922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439
1921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93
1920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50
1919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