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4

피난과 피란

조회 수 10004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난과 피란

한 독자께서 '피난'과 '피란' 또는 '피난민'과 '피란민'을 어떻게 구분해 쓰느냐고 질문하셨습니다. 한자 의미상 피난(避難)은 재난을 피해 옮겨 가는 것이고, 피란(避亂)은 난리를 피해 옮겨 가는 것입니다. '피난'은 뜻밖에 일어난 재앙·고난 또는 지진·홍수 등 천재지변을 당해 옮겨 가는 것을 뜻합니다. '피란'은 주로 전쟁이나 병란(兵亂)을 피해 옮겨 갈 때 쓰이지만, 분쟁·재해·작은 소동 등으로 인한 것일 때도 쓰입니다. 하지만 전쟁도 하나의 재앙으로 본다면 두 단어의 구분은 모호하고 어렵게 됩니다. 실제로 이라크전 난민을 '피난민'이라 적는 언론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한쪽을 선택, 통괄해 쓴다면 풍부한 우리말의 사용을 스스로 제약하는 결과를 낳고, 구분하지 않고 쓴다면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전쟁에는 '피란', 그외 천재지변 등에는 '피난'으로 구별해 쓰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따라서 이라크전에서와 같이 전쟁을 피해 옮겨 가는 사람들을 '피란민'이라 적고, 지진·홍수 등 자연재해와 박해·곤궁 등을 피해 옮겨 가는 사람들은 '피난민'으로 구분해 표기합니다.

김진선 교열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79
2204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30
2203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30
2202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9
2201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927
2200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6
2199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918
2198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6
2197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912
2196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904
2195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4
2194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903
2193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2192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902
2191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900
2190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8
2189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94
2188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93
2187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91
2186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90
2185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88
2184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86
2183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