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7 23:57

곤혹과 곤욕

조회 수 5801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곤혹과 곤욕

예전에 간편하게 데워 먹을 수 있는 '즉석 보신탕'이 상품화된다고 보도되자 동물보호론자들의 항의가 빗발쳐 관계 당국이 '곤혹'스러워한 적이 있다. 개고기를 식용으로 허용한 것 아니냐는 항의 전화에 식의약청은 곧바로 진상 파악에 나서는 등 때아닌 '곤욕'을 치른 바도 있다.

'곤혹'과 '곤욕'은 발음에 글자까지 비슷해 정확히 구분해 쓰기가 쉽지 않은 말이다. '곤욕(困辱)'은 글자 그대로 '심한 모욕'이나 참기 힘든 일이다. 아랫사람에게 차마 듣지 못할 소리를 듣는 곤욕을 당했거나, 산에서 꽃나무를 꺾어 내려오다 산림감시원에게 적발돼 곤욕을 치렀던 경험들이 있을 게다. 이럴 때의 '심정적 고통'은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곤혹(困惑)'은 곤란을 당해 '어찌할 바를 모르는' 난처함이다. 집에 초대한 손님의 옷에 커피를 엎질러 당황했을 때나, 산더미 같은 재활용 쓰레기 앞에서 어떻게 재분류해야 할지 모르던 때의 '당황함과 난처함'은 시간이 지나도 생각할수록 곤혹스럽다.

요약하면 '곤욕=심한 모욕·어려움'이므로 '당하다' '치르다' '겪다'와 어울리게 되고, '곤혹'은 '∼스럽다'와 함께 쓰인다. 참고로 고역(苦役)은 '몹시 힘들고 고되어 견디기 어려운 일'을 말한다.

김준광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6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627
1918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98
1917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96
1916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95
191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89
1914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5
191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912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69
191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5
1910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909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08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9
1907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7
1906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6
190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55
1904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51
1903 바람의종 2007.09.22 9150
1902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46
1901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45
1900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899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98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39
1897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