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4 20:32

장 담그셨나요?

조회 수 7534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 담그셨나요?

요즘은 김치를 집에서 하지 않고 사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된장·고추장은 아직은 직접 만드는 집들이 꽤 있다.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냄새 때문에 메주를 띄우기가 좀 곤란하다. 하지만 메주를 파는 곳이 흔하기 때문에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장을 만드는 철이다 보니 그에 관한 대화가 자주 오간다. '집에서 된장 '담으십니까'? 우리는 시골에서 부모님이 '담궈서' 보내주셔요.' '김치는요? 요즘 김치를 집에서 '담는' 사람이 어디 있나요? 사 먹지.' 이처럼 된장이나 김치를 만드는 것을 '담구다'나 '담다'로 잘못 표기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담그다'가 바른 말이다. '담구다'는 아예 없는 말이므로 여기서 변화한 '담궈서' '담구니' '담궜다'도 쓸 수 없다.

'담다'는 '물을 병에 담다'처럼 그릇 등의 용기에 무엇을 넣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 대화에서는 '담그다'의 활용형인 '담그십니까?' '담가서' '담그는'으로 써야 한다. 된장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항산화작용을 하며 항암 성분도 들어있다고 한다. 이제껏 부모님께서 담가주신 것만 먹었는데 이젠 담그는 법을 배워야겠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05
121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96
1213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95
1212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4
1211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0
1210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1209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84
1208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3
1207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바람의종 2009.11.19 7582
1206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81
1205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80
1204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78
1203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78
1202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76
1201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576
1200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572
1199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69
1198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67
1197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1196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61
1195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57
1194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50
1193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