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4 20:32

장 담그셨나요?

조회 수 7542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 담그셨나요?

요즘은 김치를 집에서 하지 않고 사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된장·고추장은 아직은 직접 만드는 집들이 꽤 있다.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냄새 때문에 메주를 띄우기가 좀 곤란하다. 하지만 메주를 파는 곳이 흔하기 때문에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장을 만드는 철이다 보니 그에 관한 대화가 자주 오간다. '집에서 된장 '담으십니까'? 우리는 시골에서 부모님이 '담궈서' 보내주셔요.' '김치는요? 요즘 김치를 집에서 '담는' 사람이 어디 있나요? 사 먹지.' 이처럼 된장이나 김치를 만드는 것을 '담구다'나 '담다'로 잘못 표기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담그다'가 바른 말이다. '담구다'는 아예 없는 말이므로 여기서 변화한 '담궈서' '담구니' '담궜다'도 쓸 수 없다.

'담다'는 '물을 병에 담다'처럼 그릇 등의 용기에 무엇을 넣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 대화에서는 '담그다'의 활용형인 '담그십니까?' '담가서' '담그는'으로 써야 한다. 된장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항산화작용을 하며 항암 성분도 들어있다고 한다. 이제껏 부모님께서 담가주신 것만 먹었는데 이젠 담그는 법을 배워야겠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72
1544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6
154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542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32
1541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08
1540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76
1539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39
1538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25
1537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61
1536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22
1535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43
1534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20
1533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18
1532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58
1531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26
1530 대책 바람의종 2007.06.25 6438
1529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57
1528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82
1527 단말마 바람의종 2007.06.20 7180
1526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68
1525 농성 바람의종 2007.06.12 6864
1524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95
1523 노비 바람의종 2007.06.11 68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