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4 20:32

장 담그셨나요?

조회 수 7510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 담그셨나요?

요즘은 김치를 집에서 하지 않고 사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된장·고추장은 아직은 직접 만드는 집들이 꽤 있다.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냄새 때문에 메주를 띄우기가 좀 곤란하다. 하지만 메주를 파는 곳이 흔하기 때문에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장을 만드는 철이다 보니 그에 관한 대화가 자주 오간다. '집에서 된장 '담으십니까'? 우리는 시골에서 부모님이 '담궈서' 보내주셔요.' '김치는요? 요즘 김치를 집에서 '담는' 사람이 어디 있나요? 사 먹지.' 이처럼 된장이나 김치를 만드는 것을 '담구다'나 '담다'로 잘못 표기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담그다'가 바른 말이다. '담구다'는 아예 없는 말이므로 여기서 변화한 '담궈서' '담구니' '담궜다'도 쓸 수 없다.

'담다'는 '물을 병에 담다'처럼 그릇 등의 용기에 무엇을 넣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 대화에서는 '담그다'의 활용형인 '담그십니까?' '담가서' '담그는'으로 써야 한다. 된장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항산화작용을 하며 항암 성분도 들어있다고 한다. 이제껏 부모님께서 담가주신 것만 먹었는데 이젠 담그는 법을 배워야겠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30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3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3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847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83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14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78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74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0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0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086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67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0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364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37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79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259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19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28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189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8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