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6

호두과자

조회 수 9615 추천 수 4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두과자

피자·햄버거·스파게티·테이크아웃 세대와 달리 늘 주전부리에 목말라 하며 지낸 때도 있다. 학창 시절 수학여행을 갈 때면 천안역 부근에서 항상 호두과자가 등장했다. 지금은 고속도로휴게소나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도심 외곽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만 어렸을 적에 맛봤던 호두과자의 맛은 잊을 수가 없다.

그런데 '호도'와 '호두'는 어떤 게 맞을까. 우리말에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모음조화 규칙이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원칙이 급속도로 무너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발음·의미가 비슷한 말이 여럿 생겨났다. '호도(胡桃)와 호두' '-동이(-童이)와 둥이' '장고(杖鼓)와 장구' '주초(柱礎)와 주추' 등이 그 예다. 이런 경우 혼란을 막기 위해 어느 한 말을 표준어로 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호두, 쌍둥이, 장구, 주춧돌'이 한자어인 본디말을 제치고 표준어가 된 것이다.

순우리말인 '오똑이→오뚝이','깡총깡총→깡충깡충'등도 같은 사례다. 호두는 정월 대보름날 밤에 깨물어 먹는 부럼으로도 사용되는데 부럼을 깨물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우리 고유의 풍습이 점차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깝다.

권인섭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87
1918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86
1917 오랑캐 風磬 2007.01.19 9180
191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80
191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69
191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913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65
1912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11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8
1910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56
1909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4
1908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1
190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48
190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7
1905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904 바람의종 2007.09.22 9142
1903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40
1902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34
1901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3
1900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32
1899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31
189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189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