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9 16:30

눈높이

조회 수 812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높이

‘귀’보다는 ‘눈’에 무게를 둔 말이 있다.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고 했다. 무엇을 정확히 알고자 확인할 때 ‘눈으로 확인한다’는 말을 쓴다. 남의 말만 듣고서는 무언가 미심쩍을 때 ‘내 눈으로 직접 봐야겠다’고 한다. 눈은 이렇게 매우 신뢰도가 높은 신체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해서 해맑은 눈동자를 미인의 필수 요소로 치고 있다. 대화 도중에 눈길을 피하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기도 한다. 눈은 사람의 수준을 가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KBS 드라마 눈높이를 낮춰라’,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눈높이 낮추고 적극적인 자기 PR’ 역시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눈높이’라는 말이 ‘수준’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눈이 높다’는 말은 수준이나 관심의 대상이 높다는 뜻이다. 제 수준에 맞지 않게 거만하다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여기서도 수준이라는 뜻은 살아 있다. 이런 뜻의 ‘눈’을 한자말로 옮기면 ‘안목’(眼目)이다. 눈 두 개가 겹쳐 있다.

사전들은 ‘눈이 높다’를 대부분 관용구로 설명하고 있지만, ‘눈높다’를 독립된 형용사로 올려놓은 사전도 있다. 그러나 ‘눈높이’를 독립된 명사로 인정하는 사전은 하나밖에 찾아보지 못했다. 이 말을 처음 쓴 것은 ‘눈높이 수학’이라는 학습 교재로 생각되는데, 이제 차츰 일반화되고 있다. ‘수준’이나 ‘안목’ 대신에 ‘눈높이’를 써도 좋을 성싶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60
1962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68
1961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70
1960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72
1959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73
1958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5
1957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75
1956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78
1955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6
1954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87
1953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90
1952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90
1951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1
1950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95
1949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201
1948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03
1947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4
1946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205
194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206
1944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208
1943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8
1942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213
1941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