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7 11:05

걸맞은, 알맞은

조회 수 9046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걸맞은, 알맞은


세상 일에는 각자에게 주어진 자리가 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걸맞는(?)' 행동이 요구된다. 맞춤법에서도 품사에 따라 알맞은 어미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틀린 줄도 모르고 무심코 쓰는 말이 '걸맞는'이다.

표준어 '걸맞은'이 되레 틀린 말처럼 보일 정도다. 그런데 왜 어미를 '∼는'으로 쓰면 안되고 '∼은'으로 써야 할까? 동사(현재형)에는 동사의 어미('-는')가 붙고, 형용사에는 형용사의 어미('-은')가 붙는데, '걸맞다'는 형용사이니 '-은'이 붙을 수밖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에서 뛰다/날다는 동사이므로 '-는'이 붙고, '깊은 우물 맑은 물'에선 깊다/맑다가 형용사이니 '-은'이 붙는다. 즉, 형용사엔 '-는'이 붙을 수 없다.

그렇다면 '깊는/맑는'이란 말이 틀렸다는 건 바로 알겠는데, 왜 '걸맞는'은 틀린 줄도 모를까? 형용사 '걸맞다' 뒤에 붙는 '맞다'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동사여서 '맞는'으로 활용되는데, 이것과 혼동되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알맞다'가 있다. '알맞다'가 동사인지 형용사인지만 알아맞히면 '알맞는'이 맞는지 '알맞은'이 맞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85
1896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32
189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27
189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26
1893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23
1892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21
189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119
1890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16
1889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14
188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2
1887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11
1886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10
1885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107
1884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7
1883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5
1882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105
1881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01
1880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100
1879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86
1878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83
1877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82
1876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82
187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