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7 10:55

싸다

조회 수 6919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싸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또는 미처 가눌 사이도 없이 오줌이 나와 버린 경우를 두고 ‘오줌 싸다’란 말을 쓴다. 자기 의도대로 소변을 봤을 때는 이 말을 쓰지 않는다.

자기 뜻대로 소변을 보았다면 ‘오줌 누다’가 된다. 오줌을 참다가 누었다면 이건 유쾌한 배설이지만, 오줌을 쌌다면 이런 낭패가 없다. 그러니까 ‘오줌 싸다’와 ‘오줌 누다’는 전혀 다른 말이다. 물리적 현상으로는 같다고 할 수 있겠지만, 사회적 인식으로는 거의 반대되는 말이다.

그런데도 흔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오줌 좀 싸고 올 게”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 당연히 “나 오줌 좀 누고 올 게”라고 해야 할 일이다. 오줌을 싸고 오겠다면 아니할 말로 좋지 않은 감정이 있는 사람 집을 찾아가서 방이건 부엌이건 아무데나 오줌을 갈겨 버리겠다는 경우 곧, 행패를 부리겠다는 경우에나 씀직한 말이다. 이를 좀 속된 말로 ‘싸지른다’고 한다.

동물 세계에서는 ‘싸다’와 ‘누다’에 차이가 있을 수가 없다. 동물들의 배설행위는 본능적, 생리적 행위다. 본능적, 생리적 행위를 억제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사람들은 문화라는 것을 끌어냈고, 문화는 삶의 양태에 여러 가지 제약을 더해 이런 본능적, 생리적 행위마저도 일정한 장소에서 격식을 갖추어서 하도록 사회적 규범을 만들어냈다.

요즘은 병원으로 가 치료받을 일이 됐지만, ‘키를 뒤집어씌운다’면 전날 ‘오줌싸개’를 다스리는 민간요법을 일컫던 말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72
1918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917 오랑캐 風磬 2007.01.19 9184
191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80
191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69
191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69
191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912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11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8
1910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56
1909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4
1908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4
190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53
190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7
190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46
1904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903 바람의종 2007.09.22 9142
1902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38
1901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36
190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5
1899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32
189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189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