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50

"정한수" 떠놓고…

조회 수 13469 추천 수 18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한수" 떠놓고…

멀리 나간 가족을 위해, 군대 간 아들을 위해, 병이 난 가장을 위해 옛날 우리 어머니들은 꼭두새벽에 우물로 나가 정성스레 떠온 맑은 물로 천지신명께 치성을 드렸다. 이런 장면은 소설이나 노래 등에 많이 묘사되는데 대중가요 '전선야곡'에도 '정한수 떠다놓고 이 아들의 공 비는 어머님의 흰머리가 눈부시어 울었소'란 구절이 나온다. 이때의 '정한수'는 정화수(井華水)를 발음에 이끌려 잘못 쓴 것이다. 한약재 복령(茯)을 '봉양'으로 잘못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정화수는 새벽에 사람들이 긷기 전 처음으로 퍼 올린 우물물을 말한다. 이 물은 치성드릴 때만이 아니라 약을 달이거나 먹을 때도 쓴다. 우리 선조는 물을 수십 가지로 분류해서 썼다. 예를 들자면 정월에 처음 내린 빗물인 춘우수(春雨水), 가을철 이슬을 받은 추로수(秋露水),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감란수(甘爛水, 일명 百勞水), 순하게 흐르는 물인 순류수(順流水), 빨리 흐르는 여울물인 급류수(急流水), 황토로 만든 지장(地漿) 등을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했다. 이렇게 물의 종류를 나눠 용처를 달리한 옛 어른들의 발상이 재미있으면서도 놀랍다.

김형식 기자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625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776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13345 

    아퀴를 짓다

  5. No Image 12Dec
    by 바람의종
    2011/12/12 by 바람의종
    Views 13344 

    추근대다, 찝적대다

  6.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13330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7. No Image 30Mar
    by 바람의종
    2010/03/30 by 바람의종
    Views 13326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8. No Image 07Oct
    by 바람의종
    2009/10/07 by 바람의종
    Views 13323 

    "~하에"

  9.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10/03/24 by 바람의종
    Views 13318 

    안절부절못하다

  10. No Image 16Aug
    by 바람의종
    2007/08/16 by 바람의종
    Views 13304 

    적자

  11.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10/06/01 by 바람의종
    Views 1329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12.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09/02/05 by 바람의종
    Views 13284 

    하락세로 치닫다

  13.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13274 

    호프

  14.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3268 

    전송과 배웅

  15.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12/03/27 by 바람의종
    Views 13266 

    뒤처지다 / 뒤쳐지다

  16.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10/04/19 by 바람의종
    Views 13244 

    바치다,받치다,받히다

  17.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13238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18. No Image 18Apr
    by 바람의종
    2010/04/18 by 바람의종
    Views 13222 

    ‘-율’과 ‘-률’

  19.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09/11/23 by 바람의종
    Views 13215 

    목재가구 / 목제가구

  20.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13211 

    심금을 울리다

  21.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13203 

    캥기다

  22.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9/02/22 by 바람의종
    Views 13192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23. No Image 06Nov
    by 風磬
    2006/11/06 by 風磬
    Views 13180 

    댕기풀이

  24. No Image 04Oct
    by 바람의종
    2010/10/04 by 바람의종
    Views 13172 

    교환 / 교체

  25. No Image 23Mar
    by 바람의종
    2010/03/23 by 바람의종
    Views 13171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