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6:03

행여

조회 수 7083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행여

무슨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두고 이야기를 할 때, 말머리에 갖다 붙이는 부사가 몇 가지 있다. 이 말들은 서로 바꿔 써도 괜찮은 경우가 있고 그래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다.

‘행여 표 떨어질라 … 눈치 행정 극심’

한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이 제목에서 ‘행여’에는 표가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담겨 있다. 잘못 쓴 말이다. ‘행여’는 한자 다행 행(幸)에 접미사 ‘-여’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다. 따라서 ‘다행히도, 운 좋게, 바라건대’의 뜻을 가지고 있다. 우려하고 걱정하는 말에다 기대할 때 쓰는 말을 갖다 놓았다.

그런데 이런 잘못은 많은 독자가 읽는 신문에서 머릿기사 제목으로 쓸 만큼 흔해져 버렸다. 이 기사가 눈에 띄기에 보기를 들었을 뿐이지, 이와 똑같은 잘못은 어느 신문 가릴 것 없이 일반화돼 있다.

이런 용도로 쓰이는 부사로는 ‘행여·행여나·혹·혹시·혹시나·혹여·혹간·설혹·만약·만약에·만일’ 따위가 있다. 이들 중에서 다른 것들은 우려하는 경우나 기대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쓸 수 있지만 ‘행여’와 ‘행여나’는 걱정·우려할 때 써서는 안 되는 말이다. “행여 반가운 친구가 오려나 기다려진다”는 되지만 “행여 사고가 나지 않을까 걱정된다”는 안 된다.

‘행여’를 ‘혹시’와 같은 뜻으로 풀이한 사전이 있기는 하다. 잘못된 말이지만 널리 퍼져 있으므로 그런 풀이를 넣었을 터이다. 그러나 공공성을 띤 매체라면 제대로 본디뜻을 가려서 쓰는 것이 좋겠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13
189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13
1895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12
1894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09
1893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08
1892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891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06
1890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06
188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04
1888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104
1887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4
1886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04
1885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84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0
1883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099
1882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881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1
1880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82
1879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74
1878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87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1
1876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70
1875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