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6:03

행여

조회 수 7090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행여

무슨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두고 이야기를 할 때, 말머리에 갖다 붙이는 부사가 몇 가지 있다. 이 말들은 서로 바꿔 써도 괜찮은 경우가 있고 그래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다.

‘행여 표 떨어질라 … 눈치 행정 극심’

한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이 제목에서 ‘행여’에는 표가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담겨 있다. 잘못 쓴 말이다. ‘행여’는 한자 다행 행(幸)에 접미사 ‘-여’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다. 따라서 ‘다행히도, 운 좋게, 바라건대’의 뜻을 가지고 있다. 우려하고 걱정하는 말에다 기대할 때 쓰는 말을 갖다 놓았다.

그런데 이런 잘못은 많은 독자가 읽는 신문에서 머릿기사 제목으로 쓸 만큼 흔해져 버렸다. 이 기사가 눈에 띄기에 보기를 들었을 뿐이지, 이와 똑같은 잘못은 어느 신문 가릴 것 없이 일반화돼 있다.

이런 용도로 쓰이는 부사로는 ‘행여·행여나·혹·혹시·혹시나·혹여·혹간·설혹·만약·만약에·만일’ 따위가 있다. 이들 중에서 다른 것들은 우려하는 경우나 기대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쓸 수 있지만 ‘행여’와 ‘행여나’는 걱정·우려할 때 써서는 안 되는 말이다. “행여 반가운 친구가 오려나 기다려진다”는 되지만 “행여 사고가 나지 않을까 걱정된다”는 안 된다.

‘행여’를 ‘혹시’와 같은 뜻으로 풀이한 사전이 있기는 하다. 잘못된 말이지만 널리 퍼져 있으므로 그런 풀이를 넣었을 터이다. 그러나 공공성을 띤 매체라면 제대로 본디뜻을 가려서 쓰는 것이 좋겠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39
189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14
18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42
189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89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8
189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59
189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30
189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91
188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78
188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188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84
188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8
188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188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53
188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84
188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52
188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51
188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3
187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19
187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51
187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72
187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97
187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