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4 15:20

발르세요?

조회 수 7329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르세요?

우리말에 ‘르’ 불규칙 용언이 꽤 된다. ‘-르다’로 끝나는 말이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와 이어지면 ‘-아/ -어’가 ‘-라/ -러’로 바뀌는 용언을 일컫는다. 이때 어간의 끝 음절 ‘르’에서 [ㅡ]는 탈락하고 남은 [ㄹ]은 앞 글자의 받침으로 자리잡는다. 가령 ‘흐르다’에 ‘-었다’가 이어지면 ‘흐르었다’로 되고 ‘흐렀다’로 되는 것이 규칙활용이다. 그러나 정작 활용형은 ‘흘렀다’다. [ㄹ] 소리가 덧나는 것이다. 음운현상으로 설측음화다. ‘-르다’로 끝나는 용언 중에서 동사로 ‘치르다/ 따르다/ 들르다/ 이르다(着)’, 형용사로 ‘누르다(黃)/푸르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르’ 불규칙 용언이다

그런데 표준말로 규정돼 있는 서울말에서 설측음화 현상이 아무렇게나 일어나고 있다. ‘르’ 불규칙 용언이 ‘-아/-어’로 시작되지 않는 어미와 이어질 때도 [ㄹ]이 덧나는 발음을 하는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매우 넓고 깊이 퍼져서 전문 방송인인 아나운서들까지 이런 현상에 물든 사람이 많다.

“이 약 바르세요” 하는 말을 자세히 들어보면 많은 이들이 “발르세요”라고 한다. ‘바르다/ 모르다/ 찌르다/ 구르다’ 들도 주의 깊게 들어보면 ‘발르다/ 몰르다/ 찔르다/ 굴르다’로 들릴 것이다. 소리뿐만 아니라 글자까지 그렇게 적는 이도 적잖다.

이런 말은 서울 사투리라고 할 수밖에 없다. 서울 사람들이 하는 말은 다 표준어라고 생각하는 까닭인지 이런 잘못들이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04
189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08
18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42
189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89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8
189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59
189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30
189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91
188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78
188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188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84
188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8
188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188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53
188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84
188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52
188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51
188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0
187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19
187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43
187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72
187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97
187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