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4 15:20

발르세요?

조회 수 7322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르세요?

우리말에 ‘르’ 불규칙 용언이 꽤 된다. ‘-르다’로 끝나는 말이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와 이어지면 ‘-아/ -어’가 ‘-라/ -러’로 바뀌는 용언을 일컫는다. 이때 어간의 끝 음절 ‘르’에서 [ㅡ]는 탈락하고 남은 [ㄹ]은 앞 글자의 받침으로 자리잡는다. 가령 ‘흐르다’에 ‘-었다’가 이어지면 ‘흐르었다’로 되고 ‘흐렀다’로 되는 것이 규칙활용이다. 그러나 정작 활용형은 ‘흘렀다’다. [ㄹ] 소리가 덧나는 것이다. 음운현상으로 설측음화다. ‘-르다’로 끝나는 용언 중에서 동사로 ‘치르다/ 따르다/ 들르다/ 이르다(着)’, 형용사로 ‘누르다(黃)/푸르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르’ 불규칙 용언이다

그런데 표준말로 규정돼 있는 서울말에서 설측음화 현상이 아무렇게나 일어나고 있다. ‘르’ 불규칙 용언이 ‘-아/-어’로 시작되지 않는 어미와 이어질 때도 [ㄹ]이 덧나는 발음을 하는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매우 넓고 깊이 퍼져서 전문 방송인인 아나운서들까지 이런 현상에 물든 사람이 많다.

“이 약 바르세요” 하는 말을 자세히 들어보면 많은 이들이 “발르세요”라고 한다. ‘바르다/ 모르다/ 찌르다/ 구르다’ 들도 주의 깊게 들어보면 ‘발르다/ 몰르다/ 찔르다/ 굴르다’로 들릴 것이다. 소리뿐만 아니라 글자까지 그렇게 적는 이도 적잖다.

이런 말은 서울 사투리라고 할 수밖에 없다. 서울 사람들이 하는 말은 다 표준어라고 생각하는 까닭인지 이런 잘못들이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29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78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752
    read more
  4. 눈높이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8118
    Read More
  5. 점쟁이

    Date2008.04.08 By바람의종 Views7152
    Read More
  6. 걸맞은, 알맞은

    Date2008.04.07 By바람의종 Views9004
    Read More
  7. 싸다

    Date2008.04.07 By바람의종 Views6904
    Read More
  8. 맞춤법 비켜가기

    Date2008.04.06 By바람의종 Views8900
    Read More
  9. 생물·화학무기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10490
    Read More
  10. 다르다와 틀리다

    Date2008.04.04 By바람의종 Views6427
    Read More
  11. 바람

    Date2008.04.04 By바람의종 Views5965
    Read More
  12. 내 탓이오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7302
    Read More
  13. "빠르다"와 "이르다"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9126
    Read More
  14. ‘당신의 무관심이 …’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6495
    Read More
  15. "정한수" 떠놓고…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13323
    Read More
  16. 로또 복권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8852
    Read More
  17. 괘씸죄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7895
    Read More
  18. 행여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7037
    Read More
  19. 좋은 아침!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11880
    Read More
  20. 저 같은 경우는?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6182
    Read More
  21.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5465
    Read More
  22.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Date2008.03.15 By바람의종 Views13222
    Read More
  23. 발르세요?

    Date2008.03.14 By바람의종 Views7322
    Read More
  24. 일본식 용어 - ㅊ

    Date2008.03.14 By바람의종 Views9090
    Read More
  25. 드셔 보세요

    Date2008.03.13 By바람의종 Views753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