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28

드셔 보세요

조회 수 7561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셔 보세요

우리말은 존대법이 무척 까다로워서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이 부분을 매우 어려워한다. 존대어를 어법에 맞게 잘 쓰면 예의바른 사람이라는 말을 듣겠지만, 잘못하거나 지나치게 하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

“스페인의 통돼지 요리 드셔보셨나요?”

한 중앙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먹다’를 ‘들다’로 했는데 이 말은 딱히 존대어라고 보기도 어렵다. 점잖은 말이라고 하는 것이 옳겠다. 아랫사람에게도 ‘많이 들게’라는 말을 쓰기 때문이다. ‘드셔보세요’에서 앞의 ‘드셔’는 동사, ‘보세요’는 조동사다. ‘드셔’는 ‘드시어’의 준꼴로서 ‘-시’라는 존대 보조어간이 들어있다. ‘보세요’는 ‘보셔요’의 변형으로서 역시 ‘-시’라는 존대를 안고 있다.

용언과 보조용언으로 이어진 말을 존대어로 할 때 양쪽에 다 선어말어미(보조어간) ‘-시’를 넣으면 이상한 말이 된다. 뒤의 보조용언에만 넣는 것이 우리의 어법이다. ‘가보세요’ 하면 반듯한데 ‘가셔보세요’라고 하면 이상하지 않은가. 따라서 ‘드셔보세요’가 아니라 ‘들어보세요’가 제대로 된 말이다.

다만 선어말어미 ‘-시’가 들어간 높임말이 아니라 단어 자체가 높임의 뜻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다. 그래서 ‘잡숴 보세요’는 반듯한 말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잡수다’에 ‘-시’를 넣어서 ‘잡수셔 보세요’라고 하면 이상한 말이 된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64
1236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731
1235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7
123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725
1233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24
1232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1231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714
1230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708
1229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707
1228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704
1227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1226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01
1225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701
1224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98
1223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698
1222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98
1221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698
1220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1219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94
1218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93
1217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91
1216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91
1215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