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19

부름말과 지칭

조회 수 10800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름말과 지칭

부르는 말을 호칭어, 일컫는 말을 지칭어라 한다. 둘이 같으면 좋겠지만 말마다 구분이 생기고 쓰임도 달라진다. 구분해 쓰이다가도 한쪽이 없어지고 하나가 양쪽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 ‘이름’은 짓거나 붙인다고 하는데, 이 ‘이름’이 일컫거나 이르는 말의 대표 선수이면서 부름말도 된다. 부르는 것도 일컫는 것도 아닌 말이 있다. 걸리는 말이다. 문법에서는 토씨를 ‘관계어’라 일컫는데, 사람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도 쓸 법한 말이다. 쉽게 일컬어 ‘걸림말’이다.

피붙이 사이에서 부르는 말로 “할아버지·할머니·아버지·어머니·아저씨·아주머니”가 있다. 이는 표준말에서 그런데, 고장·집안 따라 “할배·할매·아배·어매·아재·아지매/ 할베·할메·아베·어메·아제·아지메” 갈래가 따로 있다. [ㅐ] 갈래가 일반적이고 사전에서도 우세를 보인다. [ㅔ] 갈래는 제대로 챙긴 바가 드문데, 발음과 형태에서 나름의 체계를 갖추었다. ‘할배·할베’ 갈래는 친근한 말, 어린이 말로 흔히 쓰인다. ‘할아버지’ 갈래를 줄여 쓰는 말이라기보다 예부터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는 이가 많다. 그러니 낮은말·속된말, 또는 사투리란 고깔을 씌울 일은 아니겠다.

이 부름말이 일컫거나 가리키는 말로 쓰일 때는 꼴이 바뀐다. ‘할아버지/할배’ 갈래의 구별도 없어진다. ‘할아비/할애비, 할미, 아비/애비, 어미/에미, 아재비, 아지미’가 되면 곧 자신이 자신을, 동격 이상의 제삼자가 그 사람을 일컫는 말로 바뀐다. 여기서 부르는 말과 일컫는 말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89
1896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76
1895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75
189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72
1893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71
1892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70
1891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890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64
1889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1
1888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56
1887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1886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53
188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1
1884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49
1883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46
1882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1881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40
188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3
187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1
1878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1877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30
1876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8
1875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