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19

부름말과 지칭

조회 수 10791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름말과 지칭

부르는 말을 호칭어, 일컫는 말을 지칭어라 한다. 둘이 같으면 좋겠지만 말마다 구분이 생기고 쓰임도 달라진다. 구분해 쓰이다가도 한쪽이 없어지고 하나가 양쪽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 ‘이름’은 짓거나 붙인다고 하는데, 이 ‘이름’이 일컫거나 이르는 말의 대표 선수이면서 부름말도 된다. 부르는 것도 일컫는 것도 아닌 말이 있다. 걸리는 말이다. 문법에서는 토씨를 ‘관계어’라 일컫는데, 사람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도 쓸 법한 말이다. 쉽게 일컬어 ‘걸림말’이다.

피붙이 사이에서 부르는 말로 “할아버지·할머니·아버지·어머니·아저씨·아주머니”가 있다. 이는 표준말에서 그런데, 고장·집안 따라 “할배·할매·아배·어매·아재·아지매/ 할베·할메·아베·어메·아제·아지메” 갈래가 따로 있다. [ㅐ] 갈래가 일반적이고 사전에서도 우세를 보인다. [ㅔ] 갈래는 제대로 챙긴 바가 드문데, 발음과 형태에서 나름의 체계를 갖추었다. ‘할배·할베’ 갈래는 친근한 말, 어린이 말로 흔히 쓰인다. ‘할아버지’ 갈래를 줄여 쓰는 말이라기보다 예부터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는 이가 많다. 그러니 낮은말·속된말, 또는 사투리란 고깔을 씌울 일은 아니겠다.

이 부름말이 일컫거나 가리키는 말로 쓰일 때는 꼴이 바뀐다. ‘할아버지/할배’ 갈래의 구별도 없어진다. ‘할아비/할애비, 할미, 아비/애비, 어미/에미, 아재비, 아지미’가 되면 곧 자신이 자신을, 동격 이상의 제삼자가 그 사람을 일컫는 말로 바뀐다. 여기서 부르는 말과 일컫는 말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5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35
189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053
18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174
189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487
189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58
189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19
189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082
189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24
188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02
188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073
188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02
188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879
188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23
188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691
188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27
188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085
188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378
188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74
187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39
187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582
187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177
187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23
187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5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