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19

부름말과 지칭

조회 수 10818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름말과 지칭

부르는 말을 호칭어, 일컫는 말을 지칭어라 한다. 둘이 같으면 좋겠지만 말마다 구분이 생기고 쓰임도 달라진다. 구분해 쓰이다가도 한쪽이 없어지고 하나가 양쪽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 ‘이름’은 짓거나 붙인다고 하는데, 이 ‘이름’이 일컫거나 이르는 말의 대표 선수이면서 부름말도 된다. 부르는 것도 일컫는 것도 아닌 말이 있다. 걸리는 말이다. 문법에서는 토씨를 ‘관계어’라 일컫는데, 사람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도 쓸 법한 말이다. 쉽게 일컬어 ‘걸림말’이다.

피붙이 사이에서 부르는 말로 “할아버지·할머니·아버지·어머니·아저씨·아주머니”가 있다. 이는 표준말에서 그런데, 고장·집안 따라 “할배·할매·아배·어매·아재·아지매/ 할베·할메·아베·어메·아제·아지메” 갈래가 따로 있다. [ㅐ] 갈래가 일반적이고 사전에서도 우세를 보인다. [ㅔ] 갈래는 제대로 챙긴 바가 드문데, 발음과 형태에서 나름의 체계를 갖추었다. ‘할배·할베’ 갈래는 친근한 말, 어린이 말로 흔히 쓰인다. ‘할아버지’ 갈래를 줄여 쓰는 말이라기보다 예부터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는 이가 많다. 그러니 낮은말·속된말, 또는 사투리란 고깔을 씌울 일은 아니겠다.

이 부름말이 일컫거나 가리키는 말로 쓰일 때는 꼴이 바뀐다. ‘할아버지/할배’ 갈래의 구별도 없어진다. ‘할아비/할애비, 할미, 아비/애비, 어미/에미, 아재비, 아지미’가 되면 곧 자신이 자신을, 동격 이상의 제삼자가 그 사람을 일컫는 말로 바뀐다. 여기서 부르는 말과 일컫는 말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16
2666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181
»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18
2664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90
2663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31
2662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653
2661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36
2660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78
2659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0
2658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24
2657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23
2656 일본식 용어 - ㅌ ~ ㅎ : "政治는 일본식 우리식은 政事" - 김성동 / 소설가 바람의종 2008.03.15 13226
2655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94
2654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61
265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54
2652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886
2651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012
2650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498
2649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97
264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501
2647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271
2646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7039
2645 바람의종 2008.03.18 6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