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5

방법론?

조회 수 7190 추천 수 8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법론?


“무엇을 보수(保守)하고 어떻게 변화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인가. 이명박 박근혜씨는 지금 그 구체적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최근의 어느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사전은 ‘방법론’을 ‘학문 연구에서 진리에 이르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풀이한다. 확실한 개념은 밀쳐 놓더라도 우선 대단히 어려운 학문 용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풀이를 봐도 뜻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이런 어려운 말을 왜 매우 단순하고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일에다 쓰고 있는가?

두 사람은 지금 ‘방법’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지,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 아니다. ‘방법’이 ‘방법론’으로 바뀌는 순간 모든 확실한 것들이 모호해지면서 글 전체가 안개 낀 시야가 돼 버린다. 사유 자체가 어렵고, 그 사유에 다가서려니 어쩔 수 없이 난해한 학문적 용어를 써야 한다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터이다. 그러나 앞에서 인용한 문장은 그런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론’이라는 접미사 자체가 우선 모호함을 더한다. 무슨 대단히 함축한 뜻이 있는 것처럼 전달되기 때문이다. “야당 태도는 반대론이라기보다는 회피론에 가깝다”는 구절도 볼 수 있었다. 여기서도 그냥 “반대라기보다는 회피에 가깝다”고 하면 쉽고 명료하게 전달된다.

‘론’이니 ‘학’이니 ‘설’이니 하는 접미사들을 자꾸 글이나 말에 끌어들이는 것은 특히 얼치기 지식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우재욱/우리말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47
189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13
189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42
189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89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8
189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59
189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30
189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91
188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78
188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188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84
188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8
188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188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53
188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84
188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52
188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51
188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0
187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19
187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46
187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72
187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97
187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