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5

방법론?

조회 수 7167 추천 수 8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법론?


“무엇을 보수(保守)하고 어떻게 변화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인가. 이명박 박근혜씨는 지금 그 구체적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최근의 어느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사전은 ‘방법론’을 ‘학문 연구에서 진리에 이르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풀이한다. 확실한 개념은 밀쳐 놓더라도 우선 대단히 어려운 학문 용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풀이를 봐도 뜻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이런 어려운 말을 왜 매우 단순하고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일에다 쓰고 있는가?

두 사람은 지금 ‘방법’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지,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 아니다. ‘방법’이 ‘방법론’으로 바뀌는 순간 모든 확실한 것들이 모호해지면서 글 전체가 안개 낀 시야가 돼 버린다. 사유 자체가 어렵고, 그 사유에 다가서려니 어쩔 수 없이 난해한 학문적 용어를 써야 한다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터이다. 그러나 앞에서 인용한 문장은 그런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론’이라는 접미사 자체가 우선 모호함을 더한다. 무슨 대단히 함축한 뜻이 있는 것처럼 전달되기 때문이다. “야당 태도는 반대론이라기보다는 회피론에 가깝다”는 구절도 볼 수 있었다. 여기서도 그냥 “반대라기보다는 회피에 가깝다”고 하면 쉽고 명료하게 전달된다.

‘론’이니 ‘학’이니 ‘설’이니 하는 접미사들을 자꾸 글이나 말에 끌어들이는 것은 특히 얼치기 지식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우재욱/우리말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34
1038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63
1037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3
103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62
103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1
1034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54
1033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50
103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2
1031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40
103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34
1029 바람의종 2008.11.01 7225
1028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25
1027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24
1026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0
1025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19
1024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16
1023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14
1022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1021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211
1020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08
1019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07
1018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07
1017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