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5

방법론?

조회 수 7185 추천 수 8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법론?


“무엇을 보수(保守)하고 어떻게 변화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인가. 이명박 박근혜씨는 지금 그 구체적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최근의 어느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사전은 ‘방법론’을 ‘학문 연구에서 진리에 이르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풀이한다. 확실한 개념은 밀쳐 놓더라도 우선 대단히 어려운 학문 용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풀이를 봐도 뜻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이런 어려운 말을 왜 매우 단순하고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일에다 쓰고 있는가?

두 사람은 지금 ‘방법’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지,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 아니다. ‘방법’이 ‘방법론’으로 바뀌는 순간 모든 확실한 것들이 모호해지면서 글 전체가 안개 낀 시야가 돼 버린다. 사유 자체가 어렵고, 그 사유에 다가서려니 어쩔 수 없이 난해한 학문적 용어를 써야 한다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터이다. 그러나 앞에서 인용한 문장은 그런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론’이라는 접미사 자체가 우선 모호함을 더한다. 무슨 대단히 함축한 뜻이 있는 것처럼 전달되기 때문이다. “야당 태도는 반대론이라기보다는 회피론에 가깝다”는 구절도 볼 수 있었다. 여기서도 그냥 “반대라기보다는 회피에 가깝다”고 하면 쉽고 명료하게 전달된다.

‘론’이니 ‘학’이니 ‘설’이니 하는 접미사들을 자꾸 글이나 말에 끌어들이는 것은 특히 얼치기 지식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우재욱/우리말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61
1522 성+ 이름 바람의종 2012.03.27 11159
1521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23
1520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395
1519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52
1518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11
1517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38
1516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95
1515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51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96
1513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71
1512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54
1511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61
151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1509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22
1508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96
1507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19
1506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115
1505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280
150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19
150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35
1502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43
1501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