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5

방법론?

조회 수 7171 추천 수 8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방법론?


“무엇을 보수(保守)하고 어떻게 변화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인가. 이명박 박근혜씨는 지금 그 구체적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최근의 어느 신문 칼럼에서 따온 구절이다. 사전은 ‘방법론’을 ‘학문 연구에서 진리에 이르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풀이한다. 확실한 개념은 밀쳐 놓더라도 우선 대단히 어려운 학문 용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풀이를 봐도 뜻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이런 어려운 말을 왜 매우 단순하고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일에다 쓰고 있는가?

두 사람은 지금 ‘방법’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지, 방법론을 놓고 경쟁하기도 빠듯한 시간이 아니다. ‘방법’이 ‘방법론’으로 바뀌는 순간 모든 확실한 것들이 모호해지면서 글 전체가 안개 낀 시야가 돼 버린다. 사유 자체가 어렵고, 그 사유에 다가서려니 어쩔 수 없이 난해한 학문적 용어를 써야 한다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터이다. 그러나 앞에서 인용한 문장은 그런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론’이라는 접미사 자체가 우선 모호함을 더한다. 무슨 대단히 함축한 뜻이 있는 것처럼 전달되기 때문이다. “야당 태도는 반대론이라기보다는 회피론에 가깝다”는 구절도 볼 수 있었다. 여기서도 그냥 “반대라기보다는 회피에 가깝다”고 하면 쉽고 명료하게 전달된다.

‘론’이니 ‘학’이니 ‘설’이니 하는 접미사들을 자꾸 글이나 말에 끌어들이는 것은 특히 얼치기 지식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우재욱/우리말순화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85
242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2423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32
2422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2421 바람의종 2008.11.01 7236
2420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237
2419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38
2418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3
2417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6
241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47
241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51
2414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53
2413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54
241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255
2411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55
2410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56
2409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58
2408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65
2407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66
240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66
240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2404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268
2403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