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5 04:49

살아 진천 죽어 용인

조회 수 1643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본뜻 : 나이도 같고 이름도 같은 진천 사람하고 용인 사람이 한날 한시에 죽었다. 두 사람이저승에 가니 저승 사자가 아직 때가 안되었다고 하며 용인 사람을 내보냈다.  용인 사람이 나와 보니 자기 시신은 이미 매장이 되어 있기에 진천으로 가보니 시신이 아직 그대로 있었다 그래서 다짜고짜 그 몸에 혼령이 들어가 살아났는데, 몸은 진천 사람에 혼은 용인 사람인지라, 진천 식구들을 통 모르겠는 거였다. 그래서 이 사람이 용인 자기 집으로 찾아가니 용인 사람들은 몸이 바뀐 그를 몰라보고 식구 대접을 해주지 않았다. 자기 신세가 하도 기막히고 원통한 이 사람이 원님에게 찾아가 그간의 사정을 말하니, 원님이 판결을 내렸다  '자네는 분명 용인 사람인데 진천에서 살아났으니 살아 있을 때는 진천 사람으로 알고, 죽거든 용인 사람이 시체를 찾아가거라'했다 한다.

  바뀐 뜻 : 살아 진천, 죽어 용인이란 이 말이 오늘날에는 풍수적인 의미로 와전되어 쓰이고있다  살기에는 충청도 진천 땅이 제일이고, 죽어서 묻히기는 경기도 용인이 제일 좋은 땅이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본래의 의미는 위와 같은 옛날 얘기에서 비롯된 것이니 풍수적으로 인용하는 일은 잘못된 것이다.

  "보기글"
  -살아 진천, 죽어 용인이란 말이 있듯이 여기 용인 땅이 묘자리 쓰기엔 최고로 좋은 땅이란 말이지?
  -이보게, 그 말은 땅을 가지고 한 얘기가 아니고 죽은 사람이 뒤바뀐 옛날 얘기에서 비롯된얘길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20
1830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023
1829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02
1828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298
1827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77
1826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0
1825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143
1824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29
1823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87
1822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250
182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65
1820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8
1819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68
1818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07
1817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73
1816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40
1815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71
1814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57
1813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78
1812 살얼음 / 박빙 바람의종 2010.10.30 10202
»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431
1810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085
1809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