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7 02:06

이판사판

조회 수 852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판사판

  본뜻 : 마지막 궁지에 몰린 상황을 말하는 이판사판은 이판과 사판의 합성어다.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이고, 사판은 절의 산림을 맡아 하는 스님이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 관리를 뜻하는 말인데 산림이라고 쓰기도 한다. '살림을 잘한다'에 쓰이는 살림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한말의 국학자 이능화가 쓴 "조선불교통사" 하권 "이판사판사찰내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판승과 사판승을 설명한다. '조선 사찰에는 이판승과 사판승의 구별이 있다. 이판이란 참선하고 경전을 강론하고 수행하고 흥법 포교하는 스님이다. 속칭 공부승이라고도 한다. 사판은 생산에 종사하고 절의 업무를 꾸려 나가고 사무 행정을 해 나가는 스님들이다.  속칭 산림승이라고도 한다. 이판과 사판은 그 어느 한 쪽이라도 없어서는 안되는 상호관계를 갖고 있다.  이판승이 없다면 부처님의 지혜 광명이 이어질 수 없다. 사판승이 없으면 가람이 존속할 수 없다.  그래서 청허, 부휴, 벽암, 백곡 스님 등의 대사들이 이판과 사판을 겸했다.
  조선조에 스님이 된다는 것은 마지막 신분 계층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기도 했다. 조선 시대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국교로 세우면서 스님은 성안에 드나드는 것조차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조선조에서 스님이 된 것은 이판이 되었건 사판이 되었건 그것은 마지막이 된 것이었고, 끝장을 의미하는 일이었다.

  바뀐 뜻 :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판을 가리키는 말이다.

  "보기글"
  -북한은 지금 이판사판의 지경에 처해 있기 때문에 어떤 돌발 행동을 취할지 예측할 수가 없다
  -집도 절도 잃은 이판사판인 사람하고 시비가 붙어 봐야 하나도 좋을 일이 없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61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57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61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736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9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223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39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46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60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48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25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19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42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5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83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79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37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43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03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1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8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256
2997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