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2 00:25

새말 만들기

조회 수 7778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 만들기

기성세대들은 대체로 새말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흔히 ‘통신 언어’, ‘인터넷 언어’, ‘채팅어’, ‘외계어’ 등과 같이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국어원 설문 조사 결과, 기성세대의 90% 이상이 통신 언어로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한다. 그러나 새말을 만드는 주체는 청소년만이 아니며, 그렇게 부정적인 개념을 포함하지도 않는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 수 있다. ‘아?d?d’이라는 말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잘못 친 오타인데, 다른 사람들이 따라 하면서 인터넷 시늉말(의태어)로 널리 쓰이게 됐다. 이처럼 우연히 만들어진 새말이 있는가 하면 일부러 만든 말도 있다. ‘발열옷, 골프폰’처럼 학문이나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물건이나 개념이 생겼을 때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고, 밖에서 들어온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댓글’이나 ‘누리꾼’이 그런 보기다.

널리 쓰이는 말이라도 일본어 잔재, 어려운 한자어들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려는 노력이 계속돼 왔다. ‘나시’(なし)를 대신할 말로 ‘민소매’라는 말을 만들었다. ‘적자생존’에 비추어 만들어 낸 ‘혁자생존’(革者生存)처럼 흥미를 끌거나 강조하려는 조어도 있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어 쓸 수 있는데도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이 곧 새말이라 생각하게 된 것은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았다는 말도 되겠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00
1874 생물·화학무기 바람의종 2008.04.05 10477
1873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598
1872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77
1871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84
187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53
1869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28
1868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24
1867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13
1866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659
1865 샌님 風磬 2006.12.29 10595
1864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762
1863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79
1862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49
1861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668
1860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28
18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49
1858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16
1857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17
»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78
1855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115
185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389
1853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